지자체별 지역화폐 사용처 총정리 (2025 최신판)
💡 지역화폐를 받았지만 어디서 써야 할지 몰라 고민이신가요? 지자체마다 명칭과 사용 가능 업종이 달라 헷갈릴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전국 각지의 지역화폐 종류와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장소를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✅ 이 글에서 얻을 수 있는 3가지
- 서울부터 제주까지 주요 지역화폐 종류와 특징 정리
- 사용 가능 매장, 제한 업종 한눈에 확인
- 전용 앱이나 사이트에서 가맹점 찾는 방법까지 안내
서울사랑상품권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?
서울특별시의 대표 지역화폐인 서울사랑상품권은 모바일 기반으로, 제로페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
사용처 특징
- 전통시장, 소상공인 매장, 일반 음식점 등
- 사용 불가: 백화점, 대형마트, 온라인 쇼핑몰, 유흥업소
- 사용 방법: 제로페이 앱 또는 서울페이+로 결제 가능
📣 서울 전 지역의 가맹점 정보는 제로페이 홈페이지 또는 서울페이+ 앱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.
부산 동백전 사용처는?
부산광역시에서 운영 중인 동백전은 카드형 지역화폐로, 충전 후 가맹점에서 결제하는 방식입니다.
사용처 특징
- 사용 가능: 일반 소매점, 음식점, 병의원 등
- 사용 불가: 백화점, 대형 프랜차이즈, 유흥업소
- 앱: 동백전 앱에서 충전 및 결제, 사용처 조회 가능
📣 일부 프랜차이즈 가맹점은 매장별 정책에 따라 사용이 다를 수 있으니 미리 확인이 필요합니다.
경기지역화폐, 시군마다 다르다
경기도는 시·군별로 지역화폐를 따로 운영 중이며, 대부분 카드형 또는 모바일형으로 발급됩니다.
주요 예시
- 수원페이, 용인와이페이, 안양사랑페이 등
- 사용 가능: 연매출 10억 이하 매장, 전통시장, 자영업 매장 등
- 제한 업종: 대기업 계열 마트, 유흥업소, 일부 프랜차이즈 직영점
📣 경기지역화폐 앱에서 각 시군별 가맹점 지도 조회 가능
제주 탐나는전, 어디서 쓸까?
제주도의 지역화폐인 탐나는전은 지류형과 모바일형 두 가지로 운영됩니다.
사용처 특징
- 사용 가능: 제주도 내 전통시장, 음식점, 소상공인 점포
- 사용 불가: 대형마트, 온라인 쇼핑, 외국계 유통매장
- 모바일형은 전용 앱 통해 충전 및 사용
📣 제주 지역화폐 포털에서 가맹점 검색 가능
지역화폐 사용처 확인하는 방법
사용처 조회 방법
- 각 지역 전용 앱 (예: 동백전, 경기지역화폐 등) > '가맹점 찾기'
- 제로페이 가맹점 조회: https://www.zeropay.or.kr
- 공공데이터포털: 지역화폐가맹점 표준데이터 제공
📣 가맹점 여부는 매장 스티커나 앱 지도로 확인하는 것이 정확합니다.
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지역화폐는 어디서 발급받나요?
A. 해당 지자체 또는 전용 앱(예: 경기지역화폐, 동백전 등)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Q. 타지역 지역화폐를 다른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?
A. 대부분의 지역화폐는 해당 지자체 내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.
Q. 사용기한이 지나면 어떻게 되나요?
A. 미사용 시 자동 소멸되므로 기한 내 사용해야 합니다.
🔗 관련 링크
'지원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민생회복지원금 총정리 – 신청 자격부터 지급 혜택까지 정리완료 (2) | 2025.06.29 |
---|---|
2025 민생회복지원금 신청기준 완벽 정리 (자격, 기준중위소득 등) (0) | 2025.06.24 |
민생회복지원금 2025, 언제 얼마나 받나? 신청 방법 총정리 (1) | 2025.06.24 |